| 제목 | 로드밸런스 활용법에 대해서.. | ||
|---|---|---|---|
| 글쓴이 | kaido | 작성시각 | 2016/04/18 16:29:19 | 
|  | |||
| 로드밸런스를 독특하게 한번 사용해볼 생각입니다 
 제가 해보고 싶은 것은 이렇습니다. 
 가령 A 서버와 B가 있습니다. 
 평소에 A 만 돌아가고있습니다. 그런데 업그레이드 패치를 완료한 B 사이트 자연스럽게 오픈을 하고 싶습니다. 
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! 통 이미지를 떠서 교체하는 방식의 통큰(?) 패치로 운영 하고 싶은데... [요약하면 dev 서버 1대, real A 1대, real B 대기 서버 1대.] 
 이미지를 뜬 파일을 통째로 서버에 적용 하려면 서버가 적어도 10분 가량은 내려가 있고, 스토리지를 교체해줘야합니다. [10분씩 내려놓기는 그렇죠 아무래도..] 
 그래서 B를 따로 작업 다 해놓고 로드밸런서로 B에다 몰아주기를 하면... 유저는 중간의 텀을 느끼지 않고 A에서 업그레이드 된 B 서버로 옮겨갈수 있지 않을까? 하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. [물론 옮겨지면 A는 오프. 아니면 A를 업그레이드 하고 다시 B에서 A로 옮겨주기 하고 B를 오프... 등등.] 
 가능할까요? | |||
| 다음글 | 리눅스 rsync 명령어 궁금한게있어요... (2) | ||
| 이전글 | db에서 content를 select해서 view에 뿌... (6) | ||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변종원(웅파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/04/18 16:42:34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추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aido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/04/18 17:00:17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추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@웅파 단순히 로드 부하만 담당하는게 아니었군요! 한번 시도해봐야겠습니다. |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변종원(웅파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/04/19 10:26:22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추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aido/ 얼마전 php7 업데이트할때 그렇게 진행을 했습니다. lb가 없다면 새벽시간에 작업을 해야하는데 낮 시간에 한대씩 내려서 작업했습니다. ^^ | 
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근병아리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/04/19 11:05:08 /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추천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웅파님 말씀이 맞습니다. 1대 바로 쓰는 것보다 1대라도 LB를 거쳐서 쓰는 것이 트래픽적으로 좀더 유리합니다.^^ 
 | 
원래 그렇게 운영합니다.
a,b가 lb하에 있으면 a를 lb에서 제거하고 a 작업. a를 lb에 올리고 b를 제거. b 작업후 다시 lb에 등록